2023년 NEW ‘알뜰교통플러스 카드’ 혜택 비교 및 직접 선택한 카드 공유- 할인, 마일리지, 신용, 체크

2023년 7월부터 알뜰 교통카드에 대한 할인 혜택이 커진 알뜰교통플러스 카드로 개편 확대되었다는 뉴스를 접하게 되어 처음으로 알뜰 교통카드와 교통비 할인에 대해 알게 되었습니다.

‘이달부터 교통비를 지원하는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의 월간 적립 횟수가 44회에서 60회로, 최대 적립액도 월 6만 6000원으로 늘어난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전 국민을 대상으로 마일리지 형태로 지원금을 제공하고, 카드사가 추가로 대중교통 요금 할인 혜택을 더 얹어준다.’

– 출처 : 매일경제

이제라도 교통비 할인을 챙겨야겠다는 생각이 들어 직접 비교하게 되었습니다. 필요하신 분은 꼭 필독해 주셔서 그동안 모르고 놓쳤던 교통비 할인 챙기시길 바랍니다.

알뜰교통플러스 카드 혜택 총정리

◆ 알뜰교통플러스 카드란?

알뜰 교통카드는 교통비 절감과 도보, 자전거 등 친환경 교통수단을 이동한 거리(최대 800m)에 비례한 20% 마일리지를 적립하여 지급하고, 카드사의 추가 10% 할인 혜택까지 포함해서 대중교통 이용 비용을 최대 30%까지 절감할 수 있도록 국교 교통부에서 시행하는 정책입니다.

2023년 7월부터 알뜰 교통카드에서 알뜰교통플러스 카드로 변경되며,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는 카드사가 3개에서 9개로 늘어났고, 마일리지 적립 횟수도 44회에서 60회로 혜택이 추가되었습니다.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바로가기

◆ 마일리지 적립 기준 및 금액

대중교통 요금 2,000원 미만 2,000원 ~ 3,000원 미만 3,000원 이상
기본 마일리지 최대 250원 최대 350원 최대 450원
만 19세 ~ 34세 청년 최대 350원 최대 500원 최대 650원
저소득층 최대 700원 최대 900원 최대 1,100원

마일리지 적립액 기준은 위 표와 같습니다. 출발지에서 나와 대중교통을 타러 갈 때, 대중교통에서 내려서 도착지까지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가 최대 800m를 기준으로 800m를 넘으면 최대 금액을 받게 되고, 그 이하라면 거리에 비례해 마일리지가 적립되는 구조입니다. 단, 환승 시 이동한 구간은 실적 인정이 되지 않습니다.

◆ 알뜰교통플러스 카드 참고 사항

1. 월 최소 15회 이상 이용 필요!

매월 최소 이용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충족하지 않으면 마일리지 적립 금액이 소멸됩니다. 출퇴근을 하는 직장이라면 8일만 출근을 하더라도 조건을 채울 수 있으니 어렵지 않을 거라 판단됩니다.

2. 월 최대 60회 마일리지 적립 혜택!

월 최대 60회 이용까지만 마일리지 적립 혜택을 적용합니다. 월 60회가 넘는 건에 대해서는 마일리지 적립이 되지 않습니다.

3. 미세먼지 저감 조치 발령 시, 마일리지 2배 지급!

미세먼지 저감 조치가 발령한 날 이용 시, 안내드린 마일리지 금액에서 2배로 지급됩니다.

◆ 체크카드? 신용카드? 둘 중 뭐가 좋을까?

결론 : 체크카드는 제외, 신용카드를 발급하자
  • 체크카드
    • 연회비 없음
    • 실적 한도 존재
    • 혜택 금액 : 월평균 1,000원~3,000원
    • 1년 혜택 계산 : 1,000원 X 12개월 = 12,000원
  • 신용카드
    • 연회비 있음 (국내 전용 평균 8,000원 ~ 13,000원)
    • 실적 한도 존재
    • 혜택 금액 : 월평균 7,000원~15,000원
    • 1년 혜택 계산 : (7,000원 X 12개월) – 8,000원(연회비) = 76,000원

신용카드를 선택한 이유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가장 작은 혜택과 가장 작은 연회비로 계산했을 때 1년간 받을 수 있는 혜택 금액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신용카드의 혜택 금액이 체크카드 보다 월등히 낫기 때문에 신용카드로 선택하였습니다.

◆ 알뜰교통플러스 신용카드 혜택 비교

카드사연회비교통비 할인실적 및 월 할인한도추가
혜택
국민카드국내 & 해외
8,000원
10%30만원 이상
5천원
온라인 신규 발급
연회비 100%
캐시백 이벤트
농협카드국내전용 13,000원
해외겸용 15,000원
10%40만 ~ 80만 : 1만원
80만 이상 : 2만원
삼성카드국내 & 해외
8,000원
10%30만 ~ 60만 : 7천원
60만 이상 : 1만 5천원
온라인 신규 발급
연회비 100%
캐시백 이벤트
신한카드국내전용 12,000원
해외겸용 15,000원
10%30만 ~ 50만 : 1만원
50만 ~ 100만 : 2만원
100만 이상 : 3만원
대상 카드로
4만원 이용 시
4만원 캐시백
하나카드국내 & 해외
17,000원
20%30만 이상
1만 5천원
현대카드국내 & 해외
10,000원
10%40만 ~ 90만 : 5천원
90만 이상 : 8천원
BC카드국내전용 6,000원
해외겸용 6,000원
15%30만 ~ 60만 : 7천원
60만 ~ 100만 : 1만 2천원
100만 이상 : 1만 5천원
온라인 신규 발급
연회비 100%
캐시백 이벤트
우리카드국내전용 13,000원
해외겸용 15,000원
10%30만 ~ 70만 : 1만원
70만 ~ 120만 : 2만원
120만 이상 : 4만원

◆ 내가 최종 선택한 알뜰교통플러스 카드는?

저는 신한카드를 선택했습니다.

전월 실적 30만 원을 기준으로 잡았을 때, 가장 혜택 금액이 큰 TOP3은 하나(15,000원) > 신한 = 우리(10,000원) 순이였습니다. 하지만 연회비가 신한, 우리카드보다 4,000~5,000원이 높아 최종적으로 제가 받을 혜택은 같았습니다. 같은 선상에서 신한카드만 추가 혜택으로 현재 4만 원 캐시백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신한카드로 최종 선택하였습니다.

신한 알뜰교통카드 발급 바로가기

◆ 마치며,

여기까지 알뜰교통플러스 카드 혜택 총정리 안내였습니다. 물가 상승과 함께 대중교통비도 오름에 따라 월 별 부담해야 하는 금액이 만만치 않은데요. 환경 보호 및 걷기 운동도 생활화할 수도 있고 더불어 대중교통비도 아낄 수 있는 알뜰 교통카드 신청 하셔서 조금이라도 절약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제가 발급받기로 결정한 신한 알뜰교통플러스 카드 발급 방법알뜰 교통카드 이용 방법에 대해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탄 : NEW 알뜰교통카드 사용방법 및 혜택 총정리!- 신한 알뜰교통카드 발급방법 까지

Leave a Comment